Cherry & Cherish

[JavaScript] 프로그래머스(Programmers) 소수 찾기 본문

Algorithm/Programmers

[JavaScript] 프로그래머스(Programmers) 소수 찾기

앵도라지 2023. 8. 2. 23:39

자바스크립트 알고리즘 연습을 위해, Python3으로 풀이 후 Javascript로 변환하는 과정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문제 :

한자리 숫자가 적힌 종이 조각이 흩어져있습니다. 흩어진 종이 조각을 붙여 소수를 몇 개 만들 수 있는지 알아내려 합니다.

각 종이 조각에 적힌 숫자가 적힌 문자열 numbers가 주어졌을 때, 종이 조각으로 만들 수 있는 소수가 몇 개인지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numbers는 길이 1 이상 7 이하인 문자열입니다.

numbers는 0~9까지 숫자만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013"은 0, 1, 3 숫자가 적힌 종이 조각이 흩어져있다는 의미입니다.

 

접근 :

n의 크기가 1,000,000까지이기 때문에 효율성 검사를 고려한 풀이가 필요한 문제다.

일반적으로 전체 배열을 순회하며 약수가 발생했을 때, break을 거는 방식으로 반복문을 구현하면 무조건 에러가 발생한다.

따라서, 방문체크 배열을 미리 만들어두고, 방문이 아직 안된 배열은 소수라고 판단 -> 해당 소수의 배수를 모두 지워주는 방식으로 시간 단축을 고려했다.

 

문제 제출 이후, 다른 풀이를 찾아보니, 애초에 방문체크 배열을 만들어두는 것이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라는 알고리즘 방식이라고 한다.

아래의 링크에서 해당 알고리즘에 대한 구체적인 이야기를 확인할 수 있다.

https://chanhuiseok.github.io/posts/algo-42/

 

풀이(Python) :

def solution(n):
    check = 0
    arr = [0] * (n+1) 
    for i in range(2, n+1):
        #아직 방문이 안된 배열은 소수임
        if arr[i] == 0:
            check += 1
            #남은 배열 중 해당 소수의 배수는 모두 체크
            for j in range(i, n+1, i):
                arr[j] = 1
    return check

 

풀이(JavaScript) :

function solution(n) {
  var answer = 0;
  var arr = new Array(n + 1).fill(0);
  for (i = 2; i <= n; i++) {
    if (arr[i] == 0) {
      answer += 1;
      for (j = i; j <= n; j += i) {
        arr[j] = 1;
      }
    }
  }
  return answer;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