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ming/Python

[Python 총정리 1] 용어 정리

앵도라지 2023. 1. 28. 19:17

 

여러 종류의 알고리즘 문제를 풀다보니, Python 언어 중 헷갈리는 부분이 있을 때는 자연스럽게 구글링하는 것이 습관이 되었다. 막상 찾아보면 ‘아 맞다!’ 할 정도의 기본인 경우가 더러 있어서 이 참에 아예 기본부터 쭉 정리해보는 것도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파이썬 총 정리 시작!

용어 정리

첫 번째는 역시나 용어정리다.

💡 코드의 기본 구조 : 표현식 → 문장 → 프로그램

 

표현식이 모여 문장이 되고, 문장이 모여 프로그램이 된다.

쉽게 말해 값을 만들어내는 코드가 하나 이상 모인 문장이 여러 줄 존재하면 프로그램이 되는 것이다.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자.

 

1-1. 표현식 (expression)

어떠한 값을 만들어 내는 코드를 “표현식”이라고 부른다. 값에는 숫자, 수식, 문자열이 포함 될 수 있다. 주의할 점은 기호는 표현식이 아니다. ‘+’, ‘-’와 같은 기호는 그 자체가 어떠한 의미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235
import
"Hell0"
10 + 29

 

1-2. 문장 (statement)

문장은 하나 이상의 표현식이 모인 것을 의미한다.

print("Hello")

 

1-3. 프로그램 (program)

문장이 모이면 프로그램이 된다.

import sys
N = 4
N = N + 2
print(N)

 

2. 키워드

키워드는 특별한 의미가 부여된 단어를 말한다. 다른 말로 예약어라고도 부른다. 대표적으로 True 와 False, for 이나 while 등이 있다. 이 키워드는 import keyword 를 통해 직접 프린트해서 확인해볼 수 도 있다.

 

3-1. 함수, 변수 생성 규칙(식별자)

식별자는 프로그램 언어에서 이름을 붙일 때 사용하는 단어다. 주로 변수나 함수 이름 등으로 사용 된다. 여기에는 몇가지 규칙이 있다.

  • 키워드(True, False, While 등) 사용 불가능
  • _ 제외 특수문자 사용 불가능
  • 숫자로 시작하지 않아야 함
  • 공백 사용 불가능

따라서, break (키워드), 22apple (숫자로 시작), apple 22 (공백 포함), apple? (특수문자 사용) 등은 함수나 변수명이 될 수 없는 것이다.

 

3-2. 카멜 케이스 & 스네이크 케이스

이런 식별자를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카멜 케이스 혹은 스네이크 케이스를 통해 변수명을 짓는 것이 일반적이다.

  1. 카멜 케이스 - 첫글자를 대문자로

낙타의 등처럼 울퉁불퉁하게 단어들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만들어서 식별자를 만드는 것이 카멜 케이스의 규칙이다.

카멜 케이스는 2가지 유형이 있다. 첫 글자를 소문자로 적는 카멜 케이스(adminPage)와 첫 글자를 대문자로 적는 카멜 케이스(AdminPage)가 있다.

독특하게도 파이썬은 첫 글자를 소문자로 적는 카멜 케이스는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첫 글자를 대문자로 적는 카멜 케이스만 파이썬에서 사용 가능하다.

  • 예시) ItemList, LoginStatus, AdminPage
  1. 스네이크 케이스

마치 뱀처럼 연결되듯이 단어 사이에 _ (언더 바)를 사용하여 식별자를 만드는 것이 스네이크 케이스의 규칙이다.

  • 예시) item-list, login-status, admin-page

 

3-3. 식별자 구분하기

파이썬 식별자는 위와 같은 규칙을 지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앞으로는 식별자만 보고도 구분할 수 있는 것이 몇 가지 있다.

  • 카멜케이스 : 클래스
  • 스네이크 케이스
    • 뒤에 괄호 있음 : 함수
    • 뒤에 괄호 없음 : 변수
print() - 스네이크 / 괄호있음 : 함수
math.pi - 스네이크 / 괄호없음 : 변수
class Animal - 카멜 : 클래스
soup.select() - 스네이크 / 괄호있음 : 함수
AppleCase() - 카멜 : 클래스

다음 챕터에서는 자료형을 정리하려고 한다.